실험 결과
1. 결과 DATA
length | width | motility | shape |
2-3㎛ | 1㎛ | + | rod |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live cell을 굳이 다른 곳에서 구하지 않고 실험실에서 제공해주는 균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Live cell을 관찰하는 것은 clean bench와 microscope의 사용이 익숙지 않은 우리들로써는 어려움을 겪었다. 작년에 미생물실험을 할 때에도 clean bench를 사용한 적이 있었지만 그 때는 알코올로 손을 소독한 후 Loop를 불에 소독하는 단계부터 사용했었기 때문에 UV lamp를 이용하는 것과 light, fan을 켜는 것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었다.
본 실험을 계기로 UV lamp가 어떤 원리로 소독을 하는지 알게 되었고, 상식적이지만 clean bench를 사용하기 전 미리 켜두어 clean bench에 생존해 있을 균을 죽여줘야 한다는 점, clean bench 사용 중에는 꺼두어야 한다는 사실과 UV가 켜져 있을 때는 손을 넣어서는 안된다는 등 사소한 것 같지만 꼭 필요한 지식을 알게 되었다. 또한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실수를 저지르기도 했는데 pipette을 이용하여 D.W.를 slide glass 위에 떨어트리는 과정에서도 조금 많은 양의 D.W.를 떨어트리기도 했다.
그 때문에 균이 잘 관찰되지 않은 것 인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균의 오랜 보존기간 때문에 그렇다고 하셨다. 다시 한번 더 실험을 했을 때 균의 density는 여전히 낮았지만 활발히 움직이고 있는 bacteria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brown motion에 의해 균들이 마치 아래로 떠내려가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slide glass에 균을 놓는 것 부터해서 cover glass를 덮고 i㎜ersion oil을 떨어뜨리고 상을 관찰하는 것 까지를 직접 해보니 이론적으로만 공부했던 현미경에 대해서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
관찰 결과 length 2-3㎛, width 1㎛인 것을 참고하여 판단할 때 live cell이 fugi나 yeast가 아닌 bacteria 일 것이라 추측이 가능하다. Yeast는 400배, fungi는 100배로 관찰이 가능하나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bacteria의 경우 1000배의 배율로 하여 live cell의 형태를 관찰 할 수 있다. 또한 몇 개의 둥근 구균의 형태가 보이긴 했으나 이것은 구균이 아니라 이 또한 균의 보존기간이 오래 된 이유 때문 이였다. 또 몇몇의 것들은 motility를 가져 활발히 움직인 반면 몇몇의 것들은 또 움직이지 않았다. 처음에 이것을 봤을 때는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죽은 균이라고 생각했는데 죽은 균은 아예 보이지 않는 것이 맞다.
미생물을 이용하여 생성물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게 반응공학의 목표이다. 그래서 이번 실험에서 가장 기본인 미생물들의 관찰, 염색 그리고 배양을 위한 배지제작을 하였다. 배지는 미생물 재구성의 기질로 되는 것이므로 배지의 성분 성질을 잘 조사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 을 알게 되었다. 수업시간에 배웠듯이 세균의 배양을 위한 배지에는 고분자 영양 성분과 에너지원 그리고 필요한 생육인자 등이 공급 되어야 한다. Nutrient broth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액체 복합 배지이며 agar를 첨가하면 고체배지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이유는 극히 일부 미생물을 제외한 대부분의 미생물은 agar를 분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따라서 agar는 미생물이 생육하는 동안 고체형태 그대로 존재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배지는 멸균을 해야만 한다. 그리하여 autoclave에서 고온 고압으로 멸균을 하는 것이다. 일단 만들어진 배지는 변질이나 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도 중요하고 균을 키울 시에도 잘 소독된 clean bench에서 배양을 한다고 한다. 이렇듯 배지를 만드는 모든 과정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어떠한 균을 키우기 위하여 최고의 상태와 무균의 상태를 유지해야 함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고 문헌
Brock의 미생물학, Madigan, 바이오사이언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