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유리섬유여지(GF/C)를 미리 증류수로 섞은 다음 105-110℃ 건조기 안에 넣어 2시간 정도 건조시킨다.
2) 건조시킨 GF/C 의 무게를 정확히 측정한 다음 여과기에 부착시킨다.
3) 시료 적당량을 피펫을 이용하여 여과기에 붓는다. 이 때 진공여과펌프를 작동시킨다.
4) 시료가 다 여과되면 핀셋으로 GF/C를 여과기에서 끄집어 낸 다음 105~110℃의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킨다.
5) 건조된 GF/C 의 무게를 측정한다.
주의 사항
1. 부유물질의 정량은 2㎜ 채를 통과한 수중의 불용성현탁입자를 측정의 대상으로 한다.
2. 시료량은 건조후의 부유물질이 5㎎ 이상 되도록 통상 시료는 200㎖정도로 한다.
3. 현탁물질은 침강이 쉽기 때문에 균일시료를 분취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전량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4. GFP(glass fiber filter paper) : 구멍지름이 1㎜의 것을 사용한다. 여과과정에서 유리섬유의 것이 탈리되어 생기므로 미리 수세해야 하고 건조후에도 취급에 주의해야 한다.
5. 부유물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으로 변화되기 쉬우므로 시험은 시료 채취 후 바로 실시한다. 바로 실시할 수 없는 경우 10℃이하(동결되지 않게 4℃)의 암소에 보존한다.
실험 결과 및 고찰
1. 결과 분석
부유물질 농도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v
부유물질(㎎/ℓ)=(b-a)× (1000/V)
a : 시료 여과 전의 유리섬유 여지무게(㎎)
b : 시료 여과 후의 유리섬유 여지무게(㎎), V : 시료의 양(㎖)
아래의 표는 여과 전/후 유리섬유여지(GF/C) 무게 및 부유물질 농도이다.
     
구분  | 여과 전  | 여과 후  | 부유물질(㎎/L)  | |
1  | blank  | 0.0932g  | 0.0933g  | 0.667  | 
2  | blank  | 0.0941g  | 0.0922g  | -19  | 
3  | blank  | 0.0934g  | 0.0932g  | -1.67  | 
4  | 신천하수  | 0.0934g  | 0.0953g  | 19.333  | 
5  | 양문공단유입수  | 0.0936g  | 0.0942g  | 6  | 
6  | 양문공단유입수  | 0.0933g  | 0.0932g  | -1  | 
7  | 신천하수  | 0.0928g  | 0.0939g  | 11  | 
8  | 신천하수  | 0.0928g  | 0.0937g  | 8.667  | 
9  | 신천하수  | 0.0914g  | 0.0941g  | 27  | 
다음은 산출한 부유물질의 평균값을 표로 나타내었다.
구분  | 평균 농도(㎎/L)  | 
blank  | -6.67  | 
신천하수  | 16.5  | 
양문공단유입수  | 2.5  | 
본 실험은 실수가 굉장히 많았다. 유리섬유여지의 무게를 측정하다 핀셋으로 구멍을 내기도 했고, 위의 표에서 보이다시피 신천하수를 4번이나 여과하기도 하였다.
결과값도 엉망으로 나왔다. 여과 후의 무게가 여과 전의 무게보다 더 작게나온 경우가 나왔다. 증류수의 경우 여과된 물질이 없기 때문에 0.001g정도의 오차가 있을수 있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6번 유리섬유여지의 경우는 양문공단유입수를 측정하였는데도 여과 후의 값이 작게 나왔다.(부유물질 농도 –1㎎/L) 이는 여과전의 무게를 측정할 때 바람이나 다른 외부의 힘이 가해져 실제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측정되어 이런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 문헌
1.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주해, 동화기술, 최규철 외 8명, 서울, p.253~255(1999)
2. 환경화학, 동화기술, 김덕찬 외 3명, 서울, p.709~719(2005)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