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의 이해]종묘제례악









종묘제례악


①국악개론

이조의 역대 제왕의 제사때 쓰이던 제사음악이다

②전통음악개론

종묘에는 공이 큰 임금 19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고, 영녕전에는 조선 왕조의 공이 큰 왕족 15분의 신위가 모셔져 있다. 일년에 한번 함께 제사하며 이때 연행되는 악(보태평, 정대업)· 가(악장)· 무(일무) 일체를 말한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종묘와 영녕전의 제사에 사용되는 기악과 노래와 무용을 말하며 줄여서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④한국음악개론

조선시대 역대 임금의 신위가 있는 종묘에서 제사때 쓰이는 음악의 총칭이다

⑤한민족음악론

조선시대 역대 제왕의 제사 드릴때 연주하는 기악과 노래, 무용일체를 말한다

종 합

조선시대의 역대왕이 모셔져 있는 종묘와 왕족이 모셔져 있는 영녕전에서 일년에 한번(매년 5월 첫째주 일요일)함께 지내는 제사때 연행되는 악(보태평,정대업),(악장),(일무) 일체를 종묘제례악이라 하며, 종묘제례악무 또는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약 역사



①세종대왕(1416~1450)이 연희 음악(회례연의 악무))으로 만든 보태평과 정대업을 세조10(1464) 에 종묘제례악으로 채택함


②세종대왕이 직접 당시의 향악(고려가요)과 고취악에 기초하여 정대업 15곡 남녀궁계면조와 보태 평11곡 임종궁 평조를 창제함세조이후 종묘제례악으로 채택되면서 정대업11, 보태평11곡으 로 고정됨(황종궁계면조,황종궁평조)


③정대업과 보태평은 『세종실록』악보,『세조실록』악보,『대악후보』,『속악원보』에 전함


『세종실록』악보의 정대업, 보태평은『세조실록』악보와 많은 차이가 있다.


⑤『세조실록』악보와『대악후보』악보는 거의 같다.(단 보태평의 악곡 중에 용광과 정명을 한곡 으로 묶어 ‘용광정명’이라 하고 ‘중광’을 새로 추가한 점이 다름)


⑥‘진찬악’- 진찬,쳘편두,송신에서 연주되며 7음계로 되어 있어 정대업과 보태평과 음악적 특징 이 다르다. 세조(9)가 새로 짓고‘최항’이 가사를 지음(『세종실록』권48,『대악 후보』권2에 악보가 전한다.


⑦『대악후보』『속악원보』 및 현행악보는 거의 같다



음악 보태평과 정대업


①국악개론

세종때 고취악과 향악에 기하여 만들어 회례연으로 사용(보태평은 11곡 임종궁평조, 정대업은 15곡 남려궁 계면조)세조때 종묘제례악으로 사용(보태평11곡 청황종궁 평조, 정대업11곡 청황종 계면조)

②전통음악개론

보태평 11곡과 정대업 11곡으로 구성(중요무형문화제 제1호로 지정)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세종때의 정대업은 15, 보태평은 11세조때 정대업 11, 보태평11곡 고정

④한국음악개론

세종 17년 보태평 11, 정대업 15곡이 제정조고, 문덕을 노래한 보태평, 무공을 칭송하는 정대업

⑤한민족음악론

정대업과 보테평은 원래 세종때 고취각과 향악에 기해 만들었고 회례각에 사용(보태평 임종궁 평조 11, 정대업 남려궁 계면조 15)세조때 보태평은 청황종궁 평조, 정대업은 청황종궁 계면조로 각기 11곡 사용

종 합

세종 당시에는 당악,향악,아악이 모두 종묘제례에 쓰였으며, 세종이 중국의 고취악과 향악에 기해 만든 보태평 11(임종궁 평조), 정대업 15(남려궁 계면조)은 회례악으로 사용되다가 세조때 보태평11(청황종궁 평조), 정대업11(청황종궁 계면조)으로 줄여 종묘제례악에 사용하였다. 철편두, 송신례에서는 진찬악이 연주됨(세조가 새로 짓고 최항이 가사를 씀)



악지 등가와 헌가


구 분

등 가(신전이 있는 대뜰 위에서 연주)

헌 가(마당 가운데 신로 옆에서 연주)

①국악개론

집주,집사/,,아쟁/도창(2),당피리(3)/젓대(2)/방향,편경,절고/장고,편종, /18(악기진열도법)

조촉//진고,편종,도창(2),장고,,편경,방향/당피리(3),젓대(2),해금/대금()/태평소 /18

②전통음악개론

편종,편경,,절고,,당피리,방향,젓대,아쟁,장고,도창

편종,편경,,진고,,당피리,방향,세납,대금,젓대,해금,장고,도창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편종,편경,방향,대금,당피리,아챙,절고,징장구,,,노래

편종,편경,방향,태평소,대금,당피리,해금,,진고,장구,,(도창)

④한국음악개론

편종,편경,방향,당피리,대금,아쟁,장구, 절고,,(도창)

편종,편경,방향,당피리,태평소,대금,해금,장구,진고,,대금(大金),(노래)

⑤한민족음악론

편경,편경과 같은 아악기가 있는가 하면 당피리, 방향 같은 당악기와 대금 같은 향악기도 섞여있다. 사용악기로는 편종,편경,,,절고,진고,방향,당피리,아쟁,대금,태평소,장고,,대금,징 등이 있다.

종 합

아악기(편종,편경,,)+당악기(방향,당피리)+향악기(젓대,태평소,아쟁,해금,장구). 등가, 헌가에 모두 노래가 있고 금이나 슬과 같은 현악기는 없다.


①등가(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오향친제반차도> 등가 국립고궁박물관소장)


②헌가(종묘친제규제도설 병풍)<오향친제반차도> 헌가 국립고궁박물관소장)

 

 

음악적 특징


①국악개론

정대업, 보태평은 5음계로서 각기 청황종궁 계면조와 청황종궁 평조로 되어 있다.

종지형은 하강종지형, 선율은 편종, 편경에 비하여 잣대, 피리 등은 잔가락을 넣어 메리스마틱(melismatic)하여, 속악의 특징을 나타냄. 편종,편경은 황종, 청황종을 연주하고, 관악기는 장2도 아래인 무역, 탁무역을 연주한다(5음계이던 청황종궁 계면조에서 주음과 둘재음 사이가 4도 음정을 갖는 현행 계면조로 바뀌는 과정으로 보임).태평소를 사용하여 향악의 맛을 풍김

②전통음악개론

보태평 11곡은 황,,,, 5음음계 평조(솔음계)이고 정대업11곡은 황,,,, 5음음계 계면조(라음계),진찬악은 황,,,,,, 응 등 7음계이나 고선음과 응종음은 각각1회 출현하여 구성 음계로 보기는 어렵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정대업의 음계는 황종궁 계면조, 보태평의 음계는 황종궁 평조이다

④한국음악개론

없음

⑤한민족음악론

주음으로 시작하여 주음으로 끝나는 하강종지형이고, 선율은 잔가락을 넣어 화려하다. 노래는 특이한 발성과 장식음을 사용하여 굴곡을 가진 멜리스마틱한 모습을 보여준다.정대업은 태평소를 사용하여 향악의 맛을 풍기고, 동음반복이 심하다. 보태평은 황종, 태주, 중려, 임종, 남려의 5음음계로된 평조, 정대업은 황종, 협종, 중려, 임종, 무역의 5음음계로 된 계면조 19세기 이후 5음음계이던 계면조가 변질되어 3음음계 내지 4음음계로 변질 됨

종 합

아악기,당악기,향악기 등이 혼합되어 연주됨

54구의 한문시를 노래하지만 일정한 한 장단이 없으며 마디마디의 박자수가 불규칙하며 각 구의 끝에는 박을 쳐서 단락을 구분한다.

순차적으로 하행종지한다

정대업에서 편종,편경등 아악기가 연주하는 황종음을 향악기는 장2도 낮은 무역으로 연주


 

춤 일무


①국악개론

중국 고대의 무용제도를 따르면 천자(天子) 8일무, 제후는 6일무, 대부는 4일무, 사는 2일무로서 이씨왕조는 역대 제왕의 종묘에는 6일무를 썼다. 가로와 세로로 6줄씩 모두 36인이 추는 의식무용은 문무와 무무로 나뉘고, 문무는 오른손에 적(),왼손에 약(),무무는 앞의 3줄은 검을 들고 뒤의 3줄은 창을 들고 춘다. 현재에는 8일무를 서서 64인이 춤을 춘다.

②전통음악개론

문무는 조상의 덕을 기리며 무무는 무공을 받드는 제례의식무이다. 문무는 오른손에 적과 왼손에 약을 들고 추며, 무무는 앞의 4줄은 검, 뒤의 4줄은 창을 들고 춘다.

③알기쉬운

국악개론

종묘 일무는 세조10(1464)부터 사용. 문덕을 찬양한 문무와 무공을 찬양한 무무로 구별. 조선시대에는 36명이 추는 6일무가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64명이 추는 8일무가 사용됨. 보태평음악과 추는 문무에서는 오른손에 적, 왼손에 약을 들고, 정대업음악과 추는 무무에서는 일부는 검을 들고 나머지는 창을 들고 춤.

④한국음악개론

제사에 사용되는 춤을 일무라고 하는데 문무는 원래 육일무였으나 지금은 팔일무, 8×8=64명으로 구성됨. 대상에 따라 인원수 달리함(천자(황제):8일무, 제후():6일무,대부(장관):4일무, (관리):2일무)

⑤한민족음악론

일무의 일은 열()과 같은 뜻으로 제향 때 줄을 지어서 추는 춤을 말한다.

일무는 등가와 헌가의 노래의 위치와 같아야 하며, 지위에 따라 팔일무(64), 6일무(36),사일무(16), 이일무(4)의 네 종류가 있다. 일무의 종류에는 문무와 무무가 있는데 문무에는 왼손에 약, 오른손엔 적, 무무에는 앞의 3줄은 검, 뒤에 3줄은 창을 들고 춘다.

종 합

일무는 종묘제례나 문묘제례에 사용하는 춤을 말하며 종묘에서는 6일무를 추었으며, 오늘날에는 8일무를 춘다. 지위에 따라 8일무, 6일무, 4일무, 2일무를 춘다. 문무를 출 때는 오른손에는 적, 왼손에는 약을 들고 추며, 무무에서는 앞의 4줄은 검, 뒤에 4줄은 창을 들고 춘다.

문무를 추는 광경

 

노래 악장 및 장단

① 악장

전통음악개론

문표제례악처럼 고정된 시형이 아니고 불규칙한 형태로 구성된다.

알기쉬운국악개론

현재종묘제례악에서 불려지고 있는 악장의 가사는 문묘제례악의 고정된 시형이 아니고 비교적 불규칙한 형태로 구성 된다

한민족음악론

조회,회례,제행,연향 등 국가의식에 연주되는 음악에 맞추어 무르는 노래를 말 한다. 대표적인 악장으로는 종묘제례악인 보태평과 정대업을 들 수 있으며 3, 4, 5언의 한문가사로 되어 있다.


② 장단

「전통음악개론」-일정한 장단 패턴은 보이지 않으며, 각 악곡의 길이도 일정하지 않고 불규칙한 박자로 구성된다. (종묘제례악형, 무패턴 불규칙형이라고 함)


 

의식의 절차와 사용음악


절차

악명

곡명

주악위치

일무

의식절차의 내용

재계

제향에 앞서 몸과 마음을 엄숙하고 깨끗이 하며, 이 기간 동안에는 문상이나 문병을 하지 않으며 음악도 듣지 않고 형살(形殺)문서에도 서명하지 않았다.

취위

제향을 하기 전에 제관들이 정해진 자리에 서는 절차이다. (집사가 연주자들과 무용수를 거느리고 들어와 제자리에 가서 서면 여러 다른 집사들이 들어와 4번을 절한 다음 손을 씻는다.)

진청

행사

각 산실에 나아가 선왕과 선후의 신주를 감실에서 받들어 내어 좌에 모신 뒤 초헌관에게 제향을 거행하도록 청하는 절차이다. (묘사와 대축이 각실의 신주를 받들고 나오면 초헌관, 아헌관, 종헌관, 친조관, 공신위헌관들이 들어와 동쪽 계하에서 서쪽을 향해 선다. 유사는 정시가 됐음을 고하고 제사지내기를 청한다)

영신례

보태평지악

영신회문(9번반복)

헌 가

문 무

신을 불러 들이는 것

전폐례

보태평지악

전폐회문

등 가

문 무

폐백을 들이는 것

진찬례

풍안지악

진찬악

헌 가

없 음

()을 올리는 것

초헌례

보태평지악

(11)

회문,기명,귀인, 형가,즙녕,융화,현미,용광정명,중광, 대유,역성

등 가

문 무

첫번째 술잔을 올리는 것

아헌례

정대업지악

(11)

소무,독경,탁정,선위,신정,분웅,순응,총유,정세,혁정,영관

헌 가

무 무

두 번째 잔을 올리는 것

종헌례

아헌례와 같음

아헌례와 같음

헌 가

무 무

세 번째 잔을 올리는 것

음복례

제사에 쓰인 술과 제물을 제사에 참여한 사람들이 먹고 마심으로서 신이 주신 복을 받는 의식

철편두

응안지악

진찬악

등 가

퇴 장

제사 지낸 그릇들을 덮는 것

송신례

흥안지악

진찬악

헌 가

없 음

신을 보내는 것

망료례

제향에 쓰인 폐백과 축문을 태우고 묻는 의식(폐백은 화로에서, 축판은 폐비에 담아 구덩이에 넣고 흙을 구덩이의 절반 정도 까지 채운다)


 

참고 문헌


1. 국악개론(장사훈.한만영저) 한국국악학회

2. 전통음악개론(김혜숙,백대욱,최태현저) 도서출판어울림

3. 알기쉬운 국악개론(이성천외 3인저) 도서출판 풍남

4. 한국음악개론(손태룡저) 파란나라

5. 한민족음악론(권오성) 세광출판사

6. 2011 종묘대제 문화제청, 한국문화보호재단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