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 사항
1. 점심 식사는 공복으로.
2. 식사 전 반드시 혈당량을 체크한다.
3. 각 조에 해당된 식사 실시(식사는 실험실에 비치함)
4. 총 6회의(식사 전 + 식사 후 5회) 측정 결과 치를 기록한다.
5. 혈당량 측정 시 같은 혈당계를 이용하고 실험시작 전 혈당 계 번호를 기록한다.
6. 다 마치면 종합 결과지에 기록 후 마친다.
실험 결과
1. 각 조별 평균 결과 값
표 2 1) ‘햄버거 +감자튀김 +콜라’ 의 평균 결과 값 |
표 3 2) ‘야채참치 비빔밥 + 된장국’ 의 평균 결과 값 |
표 4 3) ‘짜장면 + 탕수육’ 의 평균 결과 값 |
표 5 4) ‘샐러드’ 의 평균 결과 값 |
2. 평균 & 표준편차
식단 | 공복 | 식후 30분 | 식후 60분 | 식후 90분 | 식후 120분 | 식후 150분 |
Diet1 | 97.85±9.34 | 157.46±28.09 | 131.38±17.24 | 116.77±14.65 | 114±17.65 | 108.77±10.75 |
Diet2 | 96.25±8.29 | 178.58±29.04 | 161±22.46 | 139.25±20.5 | 136.83±20.13 | 116±12.37 |
Diet3 | 102.46±7.08 | 154.69±21.48 | 151.92±14.86 | 140.54±13.6 | 132.38±14.98 | 138.38±17 |
Diet4 | 95.38±14.51 | 109.62±14.48 | 98.92±19.15 | 93.23±!4.29 | 93.77±11.4 | 92.54±10.44 |
표준편차 | 2.73 | 25.12 | 23.85 | 19.34 | 17.02 | 16.48 |
3. 결과 그래프
Diet 종류 | 메뉴 |
1 | 햄버거 + 감자튀김 + 콜라 |
2 | 야채참치 비빔밥 + 된장국 |
3 | 짜장면 + 탕수육 |
4 | 샐러드 |
4. 에너지 영양소 비율
1) 햄버거 + 감자튀김 + 콜라
전체열량 | 당질 | 단백질 | 지질 | |||
kcal | g | kcal | g | kcal | g | kcal |
948.04 | 109.57 | 438.26 | 36.52 | 145.26 | 39.75 | 357.73 |
표 6 1조 에너지 영양소 비율 |
2) 야채참치비빔밥 + 된장국
전체열량 | 당질 | 단백질 | 지질 | |||
kcal | g | kcal | g | kcal | g | kcal |
548.37 | 95.08 | 380.3 | 20.69 | 82.74 | 8.68 | 78.09 |
표 7 2조 에너지 영양소 비율 |
3) 짜장면 + 탕수육
전체열량 | 당질 | 단백질 | 지질 | |||
kcal | g | kcal | g | kcal | g | kcal |
1490.92 | 188.2 | 752.79 | 50.23 | 200.92 | 57.56 | 518.02 |
표 8 3조 에너지 영양소 비율 |
4) 샐러드
전체열량 | 당질 | 단백질 | 지질 | |||
kcal | g | kcal | g | kcal | g | kcal |
144.43 | 12.88 | 51.54 | 1.06 | 4.22 | 9.85 | 88.65 |
표 9 4조 에너지 영양소 비율 |
*)전체 식단 에너지 영양소 비율
표 10 각 조의 에너지 영양소 비율 |
5. 전체 열량 비교
그룹 | 전체열량(kcal) |
1조 | 948.04 |
2조 | 548.57 |
3조 | 1490.92 |
4조 | 144.43 |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 실험은 4가지 식사 중 한 가지를 선택하고 식사 전의 혈당과 식후의 혈당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식 후의 혈당은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의 혈당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식사2가 식전과 비교하여 가장 극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식사4의 변화가 가장 미비했다 또한 식사3의 혈당변화가 가장 더디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도출하고 난 후 한 가지 문제를 찾아볼 수 있었다. 식사1, 식사2, 식사4 세 가지 식단의 경우 식후 30분에 최고 혈당을 기록하고 60분, 90분, 120분, 150분 후 혈당이 차차 내려가는 수치를 보였으나 식사3의 경우 식후 120분 까지는 혈당이 내려갔으나 150분 후 다시금 혈당이 올라가는 결과를 보였다.
식사3을 섭취한 13명의 학생들 중 7명에게서 120분후의 혈당수치보다 150분후의 혈당수치가 더 높은 결과를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혈당을 체크할 때 너무 많은 혈액을 기기에 이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일정한 양의 혈액을 실험에 이용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혈액을 채취할 때마다 일정하지 않은 양의 혈액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식사3이 가장 혈당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기존의 생각과는 달리 식사2가 가장 혈당이 높았으며 식사1, 식사3, 식사4가 차례로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이와 달리 전체 열량은 식사3이 1490.92로 제일 높았다. 이는 식사4의 전체 열량144.43의 10배에 해당하는 열량이다. 혈당이 제일 높았던 식사2의 경우 548.57의 전체 열량으로 혈당수치에 비해 비교적 낮은 열량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식사4는 전체 열량은 제일 낮지만 지질의 비율이 제일 높았다. 이는 식사4에는 당질이나 단백질의 함량이 적은 야채와 지질의 함량이 높은 드레싱이 주된 식재료로 사용됐기 때문으로 보인다. 지질의 비율 또한 혈당과 마찬가지로 식사3의 비율이 제일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 기존의 생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당질이 제일 높았던 식사2는 지질의 비율이 제일 낮다는 결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2. 결론
이 실험에서는 각 식단이 식후 어떠한 혈당 변화를 가져오는 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각기 다른 4가지의 식단을 섭취한 후 식전의 혈당을 측정한 후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후의 혈당량 또한 측정하여 이에 따른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식후30분에 제일 높은 혈당수치를 기록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차차 혈당수치가 내려갔다.
하지만 실험에 참여한 학생들 모두가 이러한 결과를 도출한 것은 아니었으며 개인적 편차가 발생하였다. 이 실험에서 얻은 결론을 바탕으로 전체열량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지질의 비율이 높은 것은 아니며, 전체열량이 낮다고 해서 무조건 지질의 비율이 낮은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아 낼 수 있었다.
참고 문헌
1. 영양판정 제 3판, 교문사, 이정원·이미숙 외 3인, 2012
2. 신유미(2008) - 식사에서의 탄수화물 구성 비율이 혈당과 인슐린 농도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 고탄수화물식사와 고지방식사에서 식 후 포도당, 인슐린 및 지질 Kinetic에 관한 연구 = Effects of Dietary Carbohydrate Composition on Glucose, Insulin and Blood Lipid Level. 학위논문(석사) 경희대학교 동서의학대학원
3. 홍인선(2002) - 쌀을 원료로 한 생식의 혈당 및 인슐린 변화에 관한 연구 = Postprandial Serum Gl ucose and Insulin Responses to Uncooked Rice in Healthy Subjects. 학위논문(석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