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실험]수화물에 포함된 수분 함량 결정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1) 도가니, 도가니 집게, 저울, 가열장치, 막자, 막자사발, 데이케이터


2) 염화바륨 이수화물 (BaCl2·2H2O, 그나마 물분자를 제거하기 쉬운 수화물로, 120정도로 가열하면 물분자가 제거가 된다고 알려져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깨끗한 도가니를 버너나 전기로에서 물기가 없도록 잘 말려 상온으로 식힌 후, 그 무게를 정확히 달아 기록한다.


2) 순수한 염화바륨이수화물을 막자사발에 갈아 고운 가루로 만들고 이것을 도가니에 취한 후 그 무게를 정확히 달아 기록한다.


3) 이것을 핫플레이트 위에 올려 20분 정도 가열한 다음 데시케이터에서 식힌 후, 무게를 달아 기록한다.


4) 다시 무게를 달아 그 무게가 어느 정도 일정해질 때 까지 이러한 작업을 반복한다.


5) 가열 전후의 무게의 감소량을 구하여 수분의 함량을 계산하고, 결정수의 이론적인 함량과 비교한다.

 

cf)

결정수: H2O 분자나 결정체의 구성 성분으로서 포함되어 있는 경우

부착수 : 결정 구조와는 관계없이 시료에 흡착되어 있거나 표면에 붙어있는 수분




실험 결과


1. 결과 data

잘 마른 도가니의 무게 : 26.975g

시료를 담은 도가니의 무게 : 30.114g

 시료의 무게 : 3.139g


건조 후 시료를 담은 도가니의 무게

1차 가열 (10), 2차 가열 (5) : 29.834g

3차 가열 (5) : 29.663g

 

1,2차 가열 후와 3차 가열 후의 차이가 미미해서 다시 한번 더 가열함.

마지막 가열 후 : 29.644g


마른 시료의 무게 : 2.689g

시료의 감소량 : 0.45g


증발한 수분의 무게 / 시료의 무게 × 100 = 0.45 / 3.139 × 100% = 14.33%


결정수의 이론적인 함량에 대한 상대오차 계산

l이론값-실험값l / 실험값 × 100% = 14.74-14.33/ 14.33 × 100% = 2.86%

 

본 실험에서 수화물을 가열하여 무게의 감소량으로부터 결정수의 함량을 구하고 이론적인 함량과 비교해봤을 때, 3%가 차이가 난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