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과학기초실험]수증기와 대기안정도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온도계 3, 휴지, 스테인리스컵, 얼음, , 유리막대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건구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장소(일지실)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습구온도계 제작 및 측정


준비한 휴지에 물을 적셔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다.


온도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온도계를 흔들어준다.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이슬점온도의 측정


미리 물을 담아 현재 기온과 비슷한 온도로 만들어 준비한다.


준비해둔 물을 스테인리스 컵에 담는다.


얼음을 넣고 스테인리스컵에 이슬이 맺힐 때까지 유리막대로 물을 저어준다.


이슬이 맺힐 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슬점온도 측정을 3번 반복한다.

 


실험 결과


1. 결과 data

습구온도와 이슬점 온도는 각각 얼마인가?

습구온도 : 15

이슬점 온도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평균

7

10

8

8.3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건구온도 : 22, 습구온도 : 15

상대습도 : 46.5%



건구온도와 이슬점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40~45%


습구온도와 이슬점온도로부터 구한 상대습도의 차이가 있는가?

차이가 있다.

습구온도는 이슬점온도보다 높거나 같다. 습구온도계에 있는 물들이 대기중으로 최대로 증발하면 습구온도와 이슬점이 같게 된다. 하지만 물이 증발할 때 영향을 주는 요소는 습도, 바람, 온도 등이 있다. 즉 바람이 많이 불고, 습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최대로 증발할 수 있는 경우의 온도는 주변 공기의 수증기가 포화될 때입니다. 이 경우가 습구온도와 이슬점이 같아지는 경우이다.


하지만 습구 온도계는 주변의 습도와 기온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증발이 최대로 일어나 기가 힘들다. 물론 기온이 높으면 상당히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이슬점과 습 구온도의 차이가 적지만 기온이 낮으면 습도가 낮아도 증발이 잘 안 일어나기 때문에 이 슬점과 습구온도 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물의 증발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 인해 이슬점온도와 습구온도사이에 차이가 생기고 구한 상대습도에서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