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온도계 3개, 휴지, 스테인리스컵, 얼음, 물, 유리막대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① 건구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장소(일지실)에서의 온도를 측정한다. - 습구온도계 제작 및 측정
② 준비한 휴지에 물을 적셔 온도계의 구부를 감싼다.
③ 온도가 더 이상 떨어지지 않을 때까지 온도계를 흔들어준다.
④ 온도계의 눈금을 읽는다. - 이슬점온도의 측정
⑤ 미리 물을 담아 현재 기온과 비슷한 온도로 만들어 준비한다.
⑥ 준비해둔 물을 스테인리스 컵에 담는다.
⑦ 얼음을 넣고 스테인리스컵에 이슬이 맺힐 때까지 유리막대로 물을 저어준다.
⑧ 이슬이 맺힐 때의 온도를 측정한다.
⑨ 이슬점온도 측정을 3번 반복한다.
실험 결과
1. 결과 data
√ 습구온도와 이슬점 온도는 각각 얼마인가?
→ 습구온도 : 15℃
이슬점 온도
첫번째 | 두번째 | 세번째 | 평균 |
7℃ | 10℃ | 8℃ | 8.3℃ |
√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 건구온도 : 22℃, 습구온도 : 15℃
상대습도 : 46.5%
√ 건구온도와 이슬점온도에 따른 상대습도는 얼마인가?
→ 40~45%
√ 습구온도와 이슬점온도로부터 구한 상대습도의 차이가 있는가?
→ 차이가 있다.
습구온도는 이슬점온도보다 높거나 같다. 습구온도계에 있는 물들이 대기중으로 최대로 증발하면 습구온도와 이슬점이 같게 된다. 하지만 물이 증발할 때 영향을 주는 요소는 습도, 바람, 온도 등이 있다. 즉 바람이 많이 불고, 습도가 낮고, 온도가 높을수록 증발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이다. 최대로 증발할 수 있는 경우의 온도는 주변 공기의 수증기가 포화될 때입니다. 이 경우가 습구온도와 이슬점이 같아지는 경우이다.
하지만 습구 온도계는 주변의 습도와 기온에만 의지하기 때문에 증발이 최대로 일어나 기가 힘들다. 물론 기온이 높으면 상당히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 경우는 이슬점과 습 구온도의 차이가 적지만 기온이 낮으면 습도가 낮아도 증발이 잘 안 일어나기 때문에 이 슬점과 습구온도 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이다.
물의 증발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로 인해 이슬점온도와 습구온도사이에 차이가 생기고 구한 상대습도에서도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