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목적
1. 수리 실험대를 삼각위어를 설치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유량을 측정하고 측정값(Q)과 이론적으로 계산된 유량값(Q`)을 이용해서 측정 유량계수값을 구한다.
2. 이론적으로 계산되어진 유량계수값(C`)과 측정된 유량계수값(C)을 비교하여 이론값이 맞는지 알아본다.
3. 위어의 월류 수심(H)과 유량(Q)과의 관계도 알아본다.
실험 이론 및 원리
1. 위어(weir)
수로도중에서 흐름을 막아 이것을 넘치게 하여 물을 낙하시켜 유량을 측정하는 장치.
한 번의 수심계측으로 개수로의 유량을 결정할 수 있는 편리한 장치이다. 위어의 일부를 절단하여 유체를 흘러가도록 할 때 절치한 부분을 ‘노치’라고 한다. 노치의 모양에 따라 사각형 위어, 사다리꼴 위어, 삼각형 위어가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삼각위어를 사용하게 된다.
![]() |
그림 1. 예봉위어의 기하학 |
![]() |
그림 2. 예봉위어 판의 형상 a)사각위어, (b)삼각위어, (c)사다리꼴 위어 |
2. 삼각 위어 유량의 방정식 유도
위어 위로 월류하는 흐름의 한 유선을 따라 접근수로부의 점M 과 N에 있어서의 단위무게의 물이 가지는 에너의 방정식을 수립하면(베르누이 방정식)
식(1) |
식(1)은 마찰로 인한 에너지의 손실을 무시한 것으며 접근유속 (um)은 거의 무시할 수 있고 위어 단면에서의 압력(PN)은 대기압으로 간주할 수 있으므로
식(2) |
따라서,
식(3) |
삼각형 위어 위로 월류하는 유량은 그림의 미소면적에 점유석을 곱하여 흐름단면 전체에 걸쳐 적분함으로써 얻어진다. 점 N에 있어서의 미소면적은
dA = bdh = 2(H-h)tanθdh (식4)
식(5) |
식 (5)는 삼각형 위어 위로 에너지 손실 없이 흐르는 평행류에 대한 이론적인 유량공식이나 실제로는 월류 수맥이 수평 및 연직면상에서 크게 수축되므로 실제유량은 식(5)에 의한 것보다 작으므로 유량계수 cm을 곱해 주어야 한다.
유량계수 cm 크기는 실험으로부터 얻은 Q-H 의 관계로부터 구할 수 있는데, 이는 통상 식(5)를 다음식의 형태로 표시한다.
Q=CH5/2 식(6)
식(6)은 Q와 H간의 멱함수 관계를 표시하여 전대수치상에서 두 변량은 직선적인 관계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실험자료 분석으로부터 식(5)와 식(6)을 비교함으로써 cm을 결정하게 된다.
실험 기구 및 장치
1. 수리실험대 사양
1) 크 기 : 1.2(W) × 0.9(H) × 0.7(D)m
2) 개 수 로 : 0.2(W) × 0.2(H) × 0.7(D)m
3) 저 수 조 : 170 liters
4) 계량수조 : 44 liters
5) 웨 어 : 삼각웨어
6) 재 질 : SUS, BS 등...
7) 전 원 : AC 220V, 0.4KW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