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열역학실험]액체 - 증기 평형 2부






실험 결과


1. 메탄올의 몰비율(%)에 따른 굴절률

시료의 양을 V, 몰질량을 M, 밀도를 d라 놓으면

 

 

MeOH의 몰분율

Pure MeOH

1

M 5+ B 1

=0.915

M 4+ B 2

=0.811

M 3+ B 3

=0.683

M 2+ B 4

=0.518

M 1+ B 5

=0.301

Pure MeOH

0

  

 

Benzene의 몰분율

Pure MeOH

0

M 5+ B 1

=0.085

M 4+ B 2

=0.189

M 3+ B 3

=0.317

M 2+ B 4

=0.482

M 1+ B 5

=0.699

Pure MeOH

1


Table3. 메탄올의 몰비율에 따른 굴절률

Sample No.

Sample의 조성

MeOH의 몰분율

굴절율

1

Pure MeOH

1

1.328

2

M5+ B1

0.915

1.351

3

M4+ B2

0.811

1.378

4

M3+ B3

0.683

1.408

5

M2+ B5

0.518

1.444

6

M1+ B5

0.301

1.461

7

Pure 벤젠

0

1.497

 

Graph1.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몰비율에 따른 굴절률

 

2.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메탄올이 용매인 경우)

메탄올의 굴절율 y=-0167x + 1.51(x는 몰분율, y는 굴절률)

이 식을 x에 관해 정리하면

 

벤젠의 굴절률 y=0.167x + 1.343(x는 몰분율, y는 굴절률)

이것을 x에 관해 정리하면

 

Table4.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

MeOH 50에 가한 벤젠의 양()

b.p()

기상의 굴절률

액상의 굴절률

0

64

1.327

1.327

1

64

1.333

1.329

3

63

1.348

1.334

6

62

1.368

1.340

9

61

1.380

1.347

10

61

1.381

1.348



Graph2.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

 

 

기상굴절률

액상굴절률

MeOH 50+

Benzene 0

메탄올 : 1.327

x= (-1.327+1.51)/0.167 = 1.096

메탄올 : 1.327

x= (-1.327+1.51)/0.167 = 1.096

MeOH 50+

Benzene 1

메탄올 : 1.333

x= (-1.333+1.51)/0.167 = 1.060

메탄올 : 1.329

x= (-1.329+1.51)/0.167 = 1.084

MeOH 50+

Benzene 3

메탄올 : 1.348

x= (-1.348+1.51)/0.167 = 0.970

메탄올 : 1.334

x= (-1.334+1.51)/0.167 = 1.054

MeOH 50+

Benzene 6

메탄올 : 1.368

x= (-1.368+1.51)/0.167 = 0.850

메탄올 : 1.340

x= (-1.340+1.51)/0.167 = 1.018

MeOH 50+

Benzene 9

메탄올 : 1.380

x= (-1.380+1.51)/0.167 = 0.778

메탄올 : 1.347

x= (-1.347+1.51)/0.167 = 0.976

MeOH 50+

Benzene 10

메탄올 : 1.381

x= (-1.381+1.51)/0.167 = 0.772

메탄올 : 1.348

x= (-1.348+1.51)/0.167 = 0.970

 

Table5. 각각 상태와 넣어준 벤젠의 양에 대한 몰분율 계산값

MeOH50에 가한

벤젠의 양()

기상상태의 대한

MeOH의 몰분율

액상상태에 대한

MeOH의 몰분율

0

1.096

1.096

1

1.060

1.084

3

0.970

1.054

6

0.850

1.018

9

0.778

0.976

10

0.772

`0.970


3.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벤젠이 용매인 경우)

Table6.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

벤젠50에 가한 MeOH의 양()

b.p()

기상의 굴절률

액상의 굴절률

0

82

1.497

1.497

1

72

1.491

1.496

2

66

1.487

1.495

4

62

1.457

1.494

8

61

1.438

1.488

10

61

1.433

1.484

 

Graph3. 메탄올+벤젠 혼합물의 끓는점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


 

기상굴절률

액상굴절률

Benzene 50+

MeOH 0

벤젠 : 1.497

x= (1.497-1.343)/0.167=0.922

벤젠 : 1.497

x = (1.497-1.343)/0.167=0.922

Benzene 50+

MeOH 1

벤젠 : 1.491

x= (1.491-1.343)/0.167=0.886

벤젠 : 1.496

x= (1.496-1.343)/0.167=0.916

Benzene 50+

MeOH 2

벤젠 : 1.487

x= (1.487-1.343)/0.167=0.862

벤젠 : 1.495

x= (1.495-1.343)/0.167=0.910

Benzene 50+

MeOH 4

벤젠 : 1.457

x= (1.457-1.343)/0.167=0.683

벤젠 : 1.494

x= (1.494-1.343)/0.167=0.904

Benzene 50

+

MeOH 8

벤젠 : 1.438

x= (1.438-1.343)/0.167=0.569

메탄올 : 1.457

x= (-1.457+1.51)/0.167=0.317

벤젠 : 1.488

x= (1.488-1.343)/0.167=0.868

메탄올 : 1.494

x= (-1.494+1.51)/0.167=0.096

Benzene 50+

MeOH 10

벤젠 : 1.433

x= (1.433-1.343)/0.167=0.539

벤젠 : 1.484

x= (1.484-1.343)/0.167=0.844

 

Table7. 각각 상태와 넣어준 메탄올의 양에 대한 몰분율 계산값

벤젠50에 가한

MeOH의 양()

기상상태의 대한

벤젠의 몰분율

액상상태에 대한

벤젠의 몰분율

0

0.922

0.922

1

0.886

0.916

3

0.862

0.910

6

0.683

0.904

9

0.569

0.868

10

0.539

0.844

 

4. 몰분율-농도에 대한 기액평행도

Graph4. 메탄올의 몰분율에 따른 끓는점 변화


※ 공비점

9.686x + 53.57 = 25.52x + 36.12

x=1.1, y =64.225


Graph5. 벤젠의 몰분율에 따른 끓는점 변화


※ 공비점

41.14x + 36.74 = 191.6x 104.0

x=0.935, y=102.69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 실험은 대체적으로 오차가 큰듯하다. 메탄올+벤젠 혼합물에서 메탄올의 몰분율이 1이 넘어버린 경우가 있었다. 위에 오차의 원인에서도 썼지만 끓는점을 측정하는 과정에서 정확히 측정을 못했기 때문에 그런것 같다. 벤젠과 메탄올은 잘 섞이기는 하지만 반응을 하지는 않기 때문에 돌턴의 법칙을 적용시킬수 있을듯 하다. 이 돌턴의 법칙이 성립하기 때문에 굴절계를 이용해서 굴절률을 측정하고 그 굴절률을 토대로해서 몰농도까지 구할수 있었다. 또 실험을 하는 도중에 마개를 열었었는데 그때 순간적으로 단열팽창이 일어났을 것 같다. 이과정에서 더욱 더 많은 기체가 더 많이 바깥으로 나갔을 듯 하다.


2. 오차의 원인

본실험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은 실험하는 과정에서 있었다메탄올과 벤젠의 혼합물을 물중탕을 하면서 벤젠을 추가하고 굴절률 측정에 필요한 시료를 썼었다또 혼합물을 섞기 위해서 뚜껑을 열었었다그런데 이 과정에서 뚜껑을 자꾸 열었다가 닫았다가 했는데 이때 물중탕을 하고 있어서 온도가 높은 상태였기 때문에 적지 않은 양이 증발했을 것이다또 굴절률 측정을 하기위해서 시료를 썼었는데 이때 시료를 덜어내면서 시료를 뺀만큼의 메탄올을 더 넣어주지 않았기 때문에 혼합물의 몰분율이 달라졌을 것 같다위에 쓴 것이 본 실험에서 생긴 가장 큰 오차였던 것 같다이외에도 온도계의 최소 눈금이 1였기 때문에 소수점 눈금은 정확히 읽을수가 없었다만약에 끓는점을 측정할때마다 새 메탄올로 실험을 했으면 시간은 오래 걸리겠지만 결과값은 조금 더 정확히 나왔을 것 같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