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험 결과
회수 분류 | 1 | 2 | 3 | 4 | 5 | 6 | 7 | 8 | 9 |
0점 수위 h0(m)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0.2202 |
측정 수위 h’(m) | 0.1989 | 0.1648 | 0.12296 | 0.1066 | 0.09275 | 0.09655 | 0.1125 | 0.1394 | 0.17465 |
실제 수위 h(m) | 0.0213 | 0.0554 | 0.09724 | 0.1136 | 0.12745 | 0.12365 | 0.1077 | 0.0808 | 0.04555 |
물의 중량 W (㎏) | 12 | 40 | 85 | 93 | 81 | 114.5 | 105.5 | 99.8 | 36 |
측정 시간 t (sec) | 60 | 40 | 20 | 15 | 10 | 15 | 20 | 40 | 60 |
측정 유량 Q1(㎥/min) | 0.0120 | 0.06016 | 0.25570 | 0.37302 | 0.48734 | 0.45926 | 0.31737 | 0.15011 | 0.03609 |
이론 유량 Q2(㎥/min) | 0.0059 | 0.06163 | 0.24779 | 0.36424 | 0.48443 | 0.44941 | 0.31915 | 0.15667 | 0.03802 |
KS식에의한 유량(㎥/min) | 0.0062 | 0.06440 | 0.26624 | 0.39630 | 0.53279 | 0.49280 | 0.34566 | 0.16631 | 0.03958 |
실제 유량계수 K3 | 93.6469 | 89.1576 | 90.295 | 91.1131 | 91.8770 | 91.6623 | 90.8056 | 89.6178 | 89.3878 |
이론 유량계수 K2 | 0.6246 | 0.60196 | 0.5929 | 0.59081 | 0.58937 | 0.58974 | 0.59151 | 0.59560 | 0.60576 |
2. 결과 분석
1) 실험 1차 : 송출 밸브 반 바퀴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12/(997.248×60)×60 = 0.0120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0213 Q2 = 0.00586217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3.64692948 Q3 = K3h5/2 = 93.64692948×0.02135/2 = 0.006200726 |
2) 실험 2차 : 송출 밸브 한 바퀴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40/(997.248×60)×60 = 0.060166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0554 Q2 = 0.0061637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89.15762 Q3 = K3h5/2 = 89.15762×0.05545/2 = 0.064407 |
3) 실험 3차 : 송출 밸브 한 바퀴 반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85/(997.248×20)×60 = 0.255704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09724 Q2 = 0.247795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0.295 Q3 = K3h5/2 = 90.295×0.097245/2 = 0.266242 |
4) 실험 4차 : 송출 밸브 두 바퀴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93/(997.248×15)×60 = 0.373027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1136 Q2 = 0.364246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1.11314 Q3 = K3h5/2 = 91.11314×0.11365/2 = 0.396303 |
5) 실험 5차 : 송출 밸브 두 바퀴 반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81/(997.248×10)×60 = 0.487341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12745 Q2 = 0.484436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1.87709 Q3 = K3h5/2 = 91.87709×0.127455/2 = 0.532791 |
6) 실험 6차 : 송출 밸브 두 바퀴 열었을 때 (실험 6부터 반 바퀴씩 잠금)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114.5/(997.248×15)×60 = 0.459264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12365 Q2 = 0.449414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1.66237 Q3 = K3h5/2 = 91.66237×0.123655/2 = 0.492806 |
7) 실험 7차 : 송출 밸브 한 바퀴 반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105.5/(997.248×20)×60 = 0.317373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1077 Q2 = 0.319154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90.80564 Q3 = K3h5/2 = 90.80564×0.10775/2 = 0.345662 |
8) 실험 8차 : 송출 밸브 한 바퀴 열었을 때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98.8/(997.248×40)×60 = 0.150113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0808 Q2 = 0.156671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89.61785 Q3 = K3h5/2 = 89.61785×0.08085/2 = 0.166312 |
9) 실험 9차 : 반 바퀴 풀었을 때(두 바퀴 잠금)
측정유량 Q1 | Q1 = 중량/(비중량×t)×60(sec→min) = 36/(997.248×40)×60 = 0.036099 |
이론유량 Q2 | h(m) = h0-h’(0점수위-측정수위) = 0.04555 Q2 = 0.036099 |
KS식에 의한 유량 Q3 | K3 = 89.38783 Q3 = K3h5/2 = 89.38783×0.045555/2 = 0.039582 |
토의 사항
1) 삼각 Weir 인근의 부유물이 존재하여 Weir의 유량측정에 오차가 발생하였다.
2) 대저울이 디지털 저울이 아니어서 무게를 측정하는데 오차가 발생하였다.
3) Weir에서 나오는 물이 유량 측정용 탱크로 옮겨질 때 사이에 틈이 존재하여 물이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정확한 유량을 측정 할 수 없었다.
4) Weir에서 나오는 물을 유량 측정용 탱크로 옮길 때 일정한 시간동안 옮기게 되 는데 이러한 모든 작업을 사람이 수행하여 시간에 대한 오차가 발생한다.
5) Hook gauge를 읽을 때 수면에 정확하게 일치된 지점을 읽어야 하는데 이에 오차가 발 생하였다.
대저울을 이용한 유량측정 | Weir에서 이동될 때 유출되는 물 |
Hook gauge 측정 |
오차원인을 줄이기 위한 임시 대처방안 |
Weir에서 나오는 물이 유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손으로 판을 눌러 대처하였다.
2. 실험 고찰
[그림 1] 유량 비교 그래프 |
[그림 1]는 측정유량, 이론유량 및 KS식에 의한 유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실험 1회에서 5회는 송출 밸브를 반 바퀴씩 열면서 수행한 실험이다. 송출 밸브를 열 때 마다 유량이 증가하는 것을 [그림 1]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실험 5회에서 9회는 송출 밸브를 반 바퀴씩 잠그면서 수행한 실험이다. 송출 밸브를 잠글 때 마다 유량이 감소하게 되는데 [그림 1]를 보면 점점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림 1]를 통해서 측정유량, 이론유량, KS식에 의한 유량의 값이 거의 같은 점을 통하여 실험이 올바르게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2] 이론 유량계수 |
[그림 2]는 이론유량계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그래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실험 전반적으로 이론유량계수의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실험 1이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이것은 오차원인 중 하나인 Weir에서 유량 측정용 탱크로 물이 이동될 때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험 전반적으로 결과가 0.6의 근처에 분포하는 점을 볼 때 실험이 잘 수행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림 3] 실제 유량계수 |
[그림 3]은 실제 유량계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직전의 [그림 2]와 같은 유동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제 유량계수에서도 실험 1에서의 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데 이것 또한 오차원인 중 하나인 Weir에서 유량 측정용 탱크로 물이 이동될 때 사이의 공간으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 크게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험 전반적으로 실제 유량계수의 값이 비슷한 거동을 보이며 이것은 실험이 비교적 올바르게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결론
유량측정 실험은 시간과의 싸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유량을 측정하기 전에 실험장치 안에 물의 유동이 유지되는데 매 실험마다 약 15분 이상씩 소요되었다. 매 실험마다 송출 밸브를 조절 후 15분 이상의 시간을 대기한 후에 결과를 기록하며 실험을 진행하다 보니 수업시간을 거의 꽉 채워서야 끝나게 되었다. 하지만 그러한 시간의 기다림이 있어서인지 실험의 결과는 비교적 일정하게 나왔다.
하지만 매번 실험을 할 때마다 아쉬운 점은 실험장비의 낙후로 인하여 오차가 발생하는 것이 아쉽다. 실험장비와 실험 기구들이 개선된다면 더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본 실험은 오차의 원인이 매우 크게 눈으로 보여 더욱 크게 와 닿았다. 오차원인 중 Weir에서 유량측정용 탱크로 물이 이동할 때 유출이 된다고 기술을 해놨다.
그에대한 사진도 첨부되어있다. 순간적으로 생각해낸 방법이긴 하지만 실험의 오차를 줄이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생각한다. 또한 아날로그 저울 사용으로 인하여 정확한 무게를 측정할 수 없는점이 너무 아쉽다. 디지털 저울을 사용한다면 정확한 무게를 측정하여 측정유량의 값을 더욱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험은 원심펌프 성능실험 조와 같이 수행하게 되었는데, 다른조와 호흡을 맞추어 가며 실험을 하는 점이 또다른 경험이었다. 본 실험은 조원 모두가 각자의 역할을 맡아 수행하고, 물을 퍼 나르며 신발과 옷이 젖었지만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협동할 수 있는 실험이었다. 또한 결과가 정확하게 나와 더욱 값진 시험이었다.
참고 문헌
1. 유체역학 7판(Introduction to Fluid Mechanics), 서상호 외 공역, 텍스트북스
2. 유체역학 기초실험, 모양우 저, 조선대학교출판부
3. Essentian 유채역학, 노병준 외 1명 공저, 동명사
4. 실험유체역학, 모양우 저, 보문당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