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공열역학실험]평형 분배 2부






실험 결과


1. Data sheet

1) NaOH 표준화

 

사용한 0.01N HCl 용액()

사용한 0.01N NaOH 용액()

표준화된 NaOH 농도(N)

1

20

24

0.0083

2

20

24.5

0.0082

Cal

1: 0.01N×20= x×24㎖ ∴x=0.0083N

2: 0.01N×20= x×24.5㎖ ∴x=0.0082N


2) 제조한 CH3COOH 수용액 표준화

 

0.5N CH3COOH

0.25N CH3COOH

0.125 CH3COOH

적정에 사용한 용액의 양()

1

1

1

1차 적정에 사용한 NaOH ()

59

23

13.3

2차 적정에 사용한 NaOH ()

61

22.3

13.4

Cal

0.5N : 60×0.00825N = 1×x x=0.495N

0.25N : 22.65×0.00825N = 1×x x=0.1869N

0.125N : 13.35×0.00825N = 1×x x=0.1101N


3) 벤젠-물 계

 

0.5N 아세트산 용액

0.25N 아세트산 용액

0.125N 아세트산 용액

평형 후 취한 벤젠층()

10

20

20

적정에 사용된 0.01N NaOH()

8.5

8.4

6.0

5.9

3

2.9


4) NaOH 표준화

 

사용한 0.01N HCl 용액()

사용한 0.05N NaOH 용액()

표준화된 NaOH 농도(N)

1

25

6.0

0.0417

2

25

5.5

0.0455

Cal

1: 0.01N×25= x×6㎖       ∴x=0.0417N

2: 0.01N×25= x×5.5㎖       ∴x=0.0455N


5) 제조한 CH3COOH 수용액 표준화

 

0.5N CH3COOH

0.25N CH3COOH

0.125 CH3COOH

적정에 사용한 용액의 양()

1

1

1

1차 적정에 사용한 NaOH ()

11

5.5

2.4

2차 적정에 사용한 NaOH ()

10

5

2.3

0.5N : 10.5×0.0436N = 1×x x=0.4578N

0.25N : 5.25×0.0436N = 1×x x=0.2289N

0.125N : 2.35×0.0436N = 1×x x=0.1025N

 

6) 에테르-물 계

 

0.5N 아세트산 용액

0.25N 아세트산 용액

0.125N 아세트산 용액

평형 후 취한 물층()

5

10

10

적정에 사용된 0.05N NaOH()

35.7

36.2

35.5

36.8

17.9

17.5


2. 결과 분석

1) 벤젠-물 계

벤젠에서의 평형농도 (C20)

아세트산 용액의

농도 (C10)

NaOH 평형농도

NaOH 적정부피

()

벤젠층의 취한

부피 ()

평형 전체농도

(C20)

0.5N

0.00825N

8.45

10

0.0070N

0.25N

5.95

20

0.0025N

0.125N

2.95

20

0.0012N

0.5N : 8.45×0.00825N = 10×x x=0.0070N

0.25N : 5.95×0.00825N = 20×x x=0.0025N

0.125N : 2.95×0.00825N = 20×x x=0.0012N


물에서의 평형농도 (C10)

아세트산 용액의 농도(C10)

벤젠에서의 평형전체농도 (C20)

평형농도 (C10)

0.5N

0.0070N

0.488N

0.25N

0.0025N

0.1844N

0.125N

0.0012N

0.1089N

0.5N : 0.495N 0.0070N = 0.488N

0.25N : 0.1869N 0.0025N = 0.1844N

0.125N : 0.1101N 0.0012N = 0.1089N


물에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C1)

평형농도 (C10)

산 해리상수 (Ka)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C1)

0.488N

1.8×10-5

0.485N

0.1844N

0.1826N

0.1089N

0.1075N

C1 = C10 - (C10Ka)½

0.488N-(0.488N×1.8×10-5)½ = 0.485N

0.1844N-(0.1844N×1.8×10-5)½ = 0.1826N

0.1089N-(0.1089N×1.8×10-5)½ = 0.1075N


C20/C1값 계산(물에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C1))

C10

C20

C1

C20/C1

K

Kd

0.488N

0.0070N

0.485N

0.0144

0.0114

0.0388

0.1844N

0.0025N

0.1826N

0.0137

0.1089N

0.0012N

0.1075N

0.0112


y절편 = K = 0.0114

2K2/Kd = 0.0067 = 2×0.01142/Kd

Kd = 0.0388


C1대 C20/C1도시 그래프
절편 : K, 기울기 2K2/Kd로 Kd구함

 

2) 에테르-물 계

물에서의 평형농도

아세트산 용액의 농도

NaOH 평형농도

NaOH 적정부피()

물층의 취한 부피 ()

평형전체농도(C10)

0.5N

0.0436N

35.95

5

0.3135N

0.25N

36.15

10

0.1576N

0.125N

17.7

10

0.0772N

0.5N : 35.95×0.0436N = 5×x x=0.3135N

0.25N : 36.15×0.0436N = 10×x x=0.1576N

0.125N : 17.7×0.0436N = 10×x x=0.0772N

 

에테르에서의 평형농도 (C20)

아세트산 용액의 농도(C10)

물에서의 평형전체농도 (C10)

에테르층의 평형농도 (C20)

0.5N

0.3135N

0.1443N

0.25N

0.1576N

0.0713N

0.125N

0.0772N

0.0253N

0.5N : 0.4578N 0.3135N = 0.1443N

0.25N : 0.2289N 0.1576N = 0.0713N

0.125N : 0.1025N 0.0772N = 0.0253N

 

물에 해리되지 않는 식초산의 농도(C1)

평형농도 (C10)

산 해리상수(Ka)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 (C1)

0.3135N

1.8×10-5

0.3111N

0.1576N

0.1559N

0.0772N

0.0760N

0.3135N-(0.3135N×1.8×10-5)½ = 0.3111N

0.1576N-(0.1576N×1.8×10-5)½ = 0.1559N

0.0772N-(0.0772N×1.8×10-5)½ = 0.0760N

 

분배상수 (K)

C20=C2

C1

K

K 평균

0.1443N

0.3111N

0.1443N/0.3111N = 0.4638

0.418

0.0713N

0.1559N

0.0713N/0.1559N = 0.4573

0.0253N

0.0760N

0.0253N/0.0760N = 0.3329

에테르는 산의 이온화, 해리, 화합이 일어나지 않으므로 C20=C2



토의 사항

1. 실험 고찰

본 실험은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용매에 용질을 넣어 혼합물을 분리 시키고 용매를 추출해 용질의 분배계수를 구하는 실험이었다. 먼저 0.5N 아세트산 용액 500, 0.01N NaoH 500, 1% phenolphthalein solution 100를 제조한다. 그리고 아세트산 용액을 묽혀서 0.25N, 0.125N 아세트산 용액을 100씩 제조한다. 0.01N HCl solution 100를 제조하고 20씩 사용해서 NaOH 표준화를 2회 한다. 적정을 하면서 순간적인 색변화를 직접 눈으로 보기 어려워서 오차가 생겼을 수 있다. 표준화 된 NaOH용액을 1이용해서 acetic acid solution 표준화를 2회한다.


각 농도의 아세트산 용액 50와 벤젠 50를 분액깔때기에 넣어준다. 층을 분리하면 상대적으로 가벼운 벤젠이 윗층에 형성된다. 그리고 0.5N 아세트산 용액은 10, 0.25N, 0.125N20의 벤젠층을 취하고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2~3 방울 넣고 0.01N NaOH로 두 번씩 적정한다. 벤젠층을 취할 때 피펫을 잘 못하면 물층까지 채취될 수 있는데 그렇게 되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한다.


각 농도의 아세트산 용액 50와 에테르 50를 분액깔때기에 넣어준다. 평형이 도달된 후 물층을 취하는데, 0.5N 에테르는 5, 0.25N, 0.125N10를 취한다. 페놀프탈레인 지시약 2~3 방울 넣고 0.05N NaOH로 두 번씩 적정한다. 적정한 값으로 평형상수를 구한다. 평형상수는 K = c2/c1로 구하는데 만약 K값이 5라면 이것은 평형에서 C2의 농도가 5배 더 커야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평형의 위치가 C1에 치우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벤젠-물 계에서는 벤젠에서의 평행전체농도가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보다 0.0114배 더 커야 평형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에테르-물 계에서는 에테르층의 평행농도가 해리되지 않은 식초산의 농도보다 0.418배 더 커야 평형에 도달한다는 것이다. 벤젠-물 계보다 에테르-물 계가 더 치우쳐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생성물이 평형상태의 계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