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음악사]판소리의 특징 1부









판소리의 뜻


판소리란부채를 든 한 사람의 창자(소리꾼)가 한 사람의 고수의 북장단에 맞추어(소리),아니리(),너름새(몸짓)를 섞어가며 긴 이야기를 엮어가는 극적인 음악 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소리꾼이 부르는 서사적인 노래를 한문으로는 잡가본사가창가극가 등으로 치고 있으나 본디 우리 말로는 판소리라 일러 왔다판소리란 판놀음으로 연행되는 소리라는 뜻이다판놀음은 넓은 마당을 놀이판으로 삼고 '판을 벌린다'하여 놀이의 구색을 갖추고, '판을 짠다'하여 놀이 순서를 제대로 짜서 처음부터 끝가지 제대로 연행하는 놀음을 가리키는바 판놀음으로 타는 줄타기는 판줄이라 하고판놀음으로 치는 농악은 판굿이라 한다


그렇듯이 판놀음으로 벌이는 소리를 판소리라 하는 것이니 판소리란 이름이 본디부터 있었던 이름이라 하겠다판소리는우리 전통예술의 특질인 자유분방함과 임의성즉흥성이 잘 나타나 있는데 예를들면 송흥록까지는 정확한 대본없이 스승으로부터 익힌 사설에다 구전가요나 재담등을 즉흥적으로 삽입하여 구연되어 왔다는 점이다이는 엄청난 사설의 양으로 보아 사설이나 창법의 정확한 전승이 어려웠다기 보다도 청중의 감흥을 중요시한 방법으로서 소리꾼의 가변성과 즉흥적 윤색을 용인하는 것으로이것이 판소리의 특성이자 묘미이다.



판소리의 역사


판소리를 생성시킨 주도 세력은 한강 이남의 시나위권특히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던 무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오늘날에도 시나위권의 단골들이 부르는 서사무가에는 그 연행 형태장단음조 등에서 판소리와 유사한 점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따라서 17세기즉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중세적 격변기를 거치며 급격히 성장한 평민층의 현실적인 불만과 욕구그리고 무엇보다도 최하층의 천민으로서 신분 변화를 꿈꾸던 무격들의 이상이 결합하여 판소리라는 새로운 민속 예술이 탄생된 것으로 보인다판소리 유래에 관한 학설로는 무가기원설육자백이 토리설판놀음기원설광대소리기원설 등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판소리 사설 자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조선 영조 30(1754)에 만화 유진한이 지은만화집의 <춘향가한시 사설 200구이다옛 문헌 자료에 의하면늦어도 정,순조 때는 12종의 판소리 바탕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당시에는과거에 급제하면 광대와 재인들을 불러 3일유가하고 홍패고사를 지내던 풍습이 있었다그런데 정조 때의 가난한 선비였던 송만재는 잔치를 베풀 수 없었으므로 글로 대신하였는데 그 글이관우희



관우희에는 <심청가>,<춘향가>,<흥보가>,<수궁가>,<적벽가>,<변강쇠타령>,<배비장타령>,<장끼타령>,<옹고집>,<왈자타령>(무숙이타령),<강릉매화전>,<가짜신선타령>(숙영낭자전등 12바탕의 판소리 내용이 소개되어 있다이 가운데 오늘날에는 <춘향가>,<흥보가>,<수궁가>,<적벽가>,<심청가>의 다섯 바탕이 남아 있다이들의 주제는 오륜에서 각각 찾을 수 있는 바부부유별장유유서군신유의붕우유신부자유친이 바로 그것이다.



판소리의 편제


더늠

[더늠이라는 의미로 쓸때는 명창이름 제 판소리의 특정대목 과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이를테면 [권삼득제 제비가], [고수관제 사랑가]와 같은 경우처럼 앞에서 들고 있는 명창이 특색있게 개발하여유명해진 더늠이라는 의미이다.

 

바디

[바디라는 의미로 쓸때는명창이름 제 한바탕의 이름과 같은 형식으로 쓰인다이를테면 송만갑제 [춘향가], 유성준제 [수궁가와 같은 경우로 말한다현재 전승되고 있는 바디는 20여개 정도가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는 창법이나 악상선율의 형태와 관련하여 쓰는 용어인데덜렁제,설움제 호령제 석화제 산유화제 경제 등은 판소리의 특정한 선율 형태를 가리킨다이중에서 설움제(설움제계면조)와 호령제(호령조우조)는 기본 선율형에 드는 것이나나머지는 기본 선율의 한 파생으로 보기도 한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