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침의 이해]임기맥(A) - 1부









"기맥"에 대한 개념과 인체의 정 중앙을 상응하는 임기맥과 척추 정 중앙을 상응하는 독기맥에 대해 알아봅니다

 

기맥 : 한마디로 '장부기능 조절선이다' 라고 말할 수 있는데 장부기능 조절선'은 장부의 기능을 항진시키기도 하고(보법 및 정방) 억제하기도 한다(사법 및 승방)는 뜻으로 고전에서 말하는 경락의 개념과 같습니다.

 

또한 기맥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락과 경락혈에 대한 이론을 병행코자 하는바 이는 경락에서의 작용이나 상응점이 정확히 일치한다는 뜻이 아니고 기맥의 작용과 기맥혈에 대한 이해 차원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 할 수가 있습니다 .


  

임기맥

손바닥 손목선에서 5정도 떨어진 부위(A1)에서 중지 끝(A33)까지 뻗어간 선으로, 인체에서 보면 임맥의 상응선이다.

고전에서 임맥은 회음에서 승장(턱중앙) 까지 말하지만 이곳에서 임기맥의 상응점은 회음에서 백회까지를 말한다.

회음은 '남자는 음낭과 항문'사이를 말하고, '여자는 생식기 아래 끝 하단과 항문 중간'을 말한다.

이곳은 옛 문헌에 보면 생식기와 항문 근처에 있으므로 성기 부근의 여러 가지 생식기 병을 치료하고 물에 빠져 위독한 사람에게 물을 토하게 한 후 회음에 침을 꽃아 대, 소변이 나오면 다른곳에 침을 안 놓아도 산다 한다.

그러나 사실 이 부위를 취혈 한다는 것은 강력한 강자극법이기도 하지만 은밀한 곳으로 침을 함부로 놓기가 매우 민망한 곳이다.

따라서 실제 침을 놓기는 매우 어렵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임기맥은 인체에서의 임맥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데 임맥은 사람 몸에 있는 전면 복부의 정중선으로 흐르는 경맥(기가 흐르는 길)이다.


임맥의 경락도 고전에 말하기를 인사불성 졸도에는 제일 먼저 코끝과 윗입술 사이에 있는 인중(水溝)과 제5지 손톱 끝 옆에 있는 소택을 취한 후 안 낳으면 발바닥 중앙에 있는 용천혈을 취하라 했으며 그래도 안 낳으면 마지막으로 회음을 취하라 하였다



  

임기맥의 취혈법

회음이란 중요한 자리로 그 자리의 반응점이 바로 A1번이다.

즉 임기맥은 A1번부터 A33번까지 모두 33개의 혈로 구성되어 있는데 손바닥 제일 아래 A1번부터 손바닥 정중앙을 타고 올라가 중지 끝에 있는 A33까지 일직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A1번은 손목선을 보면 왼쪽 끝에서 오른쪽 끝까지 연결된 선이 2개 있는데 그 중 손바닥쪽에 있는 윗선의 정중앙에서 손바닥쪽으로 5mm떨어진 곳을 말한다.





Reactions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