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절기력 - 1
1. 입춘(立春:2월4일경)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이다.
「세시기」에서는 입춘을 동풍해동(東風解凍)이라 해서 차가운 북풍이 걷히고 동풍이 불면서 얼었던 강물이 녹기 시작하는 절기라고 하였으며 입춘 이후의 추위를 여한(餘恨:큰 추위가 지난 다음의 추위라는 뜻)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입추(立秋) 이후의 더위를 잔서(殘暑: 늦여름의 쇠잔한 더위라는 뜻)라고 부른 것에 상응되는 말이라 하겠다. 그런데 중부 지방의 기후는 말이 여한이지 실제로는 엄동기의 추위보다 더 심할 때도 많다.
우리 나라 기후표를 보면 중부 내륙 지방 에서는 그해의 가장 낮았던 기온이 입춘 이후에 나타난 적도 있고, 오산 지방의 경우도 86년 2월 4일에 영하 17도까지 내려간 기록이 있다. 그래서 피부로 와닿는 추위라든가 주위의 생활환경 등은 1월과 다름이 없으나, 입춘이라는 어휘에서 오는 계절감과 나날이밝아져 가는 하늘의 상태 등에서 어딘가 모르게 봄의 분위기가 우리들의 마음속에 자리잡음을 느낀다는 것이 이 절기가 가지는 의미가 될 것이다. 농사를 위주로 하는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입춘 이후를 봄으로 구분하였으며, 서양에서는 동양보다 한달 보름 가량이나 늦은 춘분(3월 23일 전후) 이후를 봄으로 구분한다.
2. 우수(雨水:2월19일경)
춘래불사춘(春來不似春) 즉 ‘봄이 와도 봄답지 않다.’
예로부터 전해 온 이 말은 정녕 우수를 두고 한 말인 양싶다. 이름 그대로라면 우수는 눈이 차츰 비로 바뀌면서 얼었던 땅이 녹기 시작하고, 날씨가 거의 풀리며,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새싹이 난다는 절기이다. 그러나, 실제 기후는 아직도 차디찬 바람이 불고 눈도 많이 내리기 때문에 봄을 느낄 수 없을 때가 많다. 이날이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고 했으나, 예전에는 한강이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었던 경우도 적지 않았다.
늦가을과 이른 봄에는 비가 내린 다음이면 대개 기온이 뚝 떨어지기 마련인데, 우수가 지나면서부터는 비가 내려도 기온이 전만큼 뚝 떨어지지 않을 때가 있으며 오히려 낮 기온은 더 오르기도 한다. 3월의 전반기까지는 이른바 ‘봄 시샘’의 시기로, 겨울이 되살아난 듯한 날씨가 계속되어 봄으로 향하는 길목을 가로막는 현상이 자주 일어나며 이 같은 봄 시샘 현상이 심할 때는 4월 중순까지도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비해 3월 중순 이후는 난춘(暖春)의 시기로 일년 중 지내기에 가장 좋은 때가 된다. 결론적으로 3월(중부는 중순)까지는 봄이라는 이름 아래 봄 특유의 격한 기상 변화를 많이 겪게 된다.
3. 경칩(驚蟄: 3월6일경)
날씨가 따뜻해서 싹이 돋아나고, 동면하던 동물들이 잠을 깨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을 붙였다. 또 다른말로는 이 시기에 대륙에서 남하하는 한랭전선이 통과하면서 흔히 천둥이 울리기 때문에 땅 속에 있던 개구리, 뱀등이 놀라서 튀어 나온다고도 하였다. 옛날 농촌에서는 논이나 물이 괸 곳을 찾아가 개구리 알을 건져 먹었으며 개구리의 정충은 몸을 보호한다고 하였다. 이날 흙일을 하면 일년 내내 탈이 없다고 하여 벽을 바르거나 담을 쌓기도 하였고. 단풍나무를 베어 나무에서 나오는 물을 마시면 위병에 효과가 있다고도 하였다.
계절상으로 볼 때 경칩 이전까지가 겨울을 정리하는 계절이었다면, 경칩 이후는 만물이 소생하고 활동을 시작하는 시기다. 원래 경칩이라면 작년 10월 하순에 땅속으로 들어갔던 개구리, 뱀 같은 냉혈동물이 긴긴 겨울잠에서 깨어나 세상밖으로 얼굴을 내민다는 절기이지만, 실제로는 아직 늦추위가 도사리고 있어 땅속의 동물이 함부로 세상밖에 나올 처지가 못 된다. 기후대가 다른 북극에서도 이 무렵이 되면 땅속의 곰이 잠자리를 바꾼다고 하는데, 그곳 사람들은 곰의 그러한 변화를 살펴서 계절의 늦고 빠름을 짐작했다고 한다.
4. 춘분(春分: 3월 21일경)
일년에 24개의 절기가 철 따라 들지만 춘분만큼 반가움을 안겨다 주는 절기도 없을 성 싶다. 그것은 춘분이 겨울의 속박에서 완전히 해방되는 것을 가리키기 때문일 것이다. 동양에서는 이날을 농경일로 삼고 씨앗을 뿌렸으며, 서양에서는 계절을 따질 때 춘분 이후부터 봄이라고 했다. 중위도 지방의 기후로 볼 때, 실제로도 이 무렵 이후를 명실상부한 봄이라 할 수 있다. 이때야 말로 만물이 약동하는 시기이다. 천구상에서 태양이 1회전하는 원을 황도라고 하는데, 황도와 천구상의 적도가 만나는점이 춘분점과 추분점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를 때를(태양은 이 점을 기준으로 천구상의 남쪽에서 북쪽으로 향하고, 추분 때는 반대가 된다.) 춘분이라고 한다. 지구상에서 볼 때 이날을 기준으로 남반구에 있던 태양이 북반구로 옮겨오므로 작년 추분이래 줄곧 남반구를 오르내렸던 태양이 북반구로 넘어오게 되니 이날 이후 낮의 길이는 하루 평균 2분 30초씩 길어지고, 햇살도 점점 따사로워지며 땅의 지열도 급속도로 오르기 시작한다. 그래서 앞으로 20일간이 일년 중 기온의 상승률이 가장 큰 시기가 된다.
5. 청명(淸明: 4월 5일경)
이 시기는 황하의 물이 연중 가장 맑기 때문에 절기의 이름을 청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이 무렵이면 하루 평균 기온이 10도를 넘고 벚꽃이 만발해서 한층 봄 기운을 북돋우며, 날이 풀리고 화창하여 식목에 가장 적당한 시기이다. 이 날은 ”부지깽이를 거꾸로 꽂아 놓아도 산다.“는 말도 있으며, 우리 나라에서는 청명 무렵인 4월 5일을 식목일로 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농가에서는 청명을 기해 논․밭둑을 손질하는 가래질을 시작했는데, 이 일은 논농사의 준비 작업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다음 절기인 곡우에는 못자리판도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청명․곡우 무렵부터는 농촌의 일손이 바빠지기 시작한다.
청명은 대개 한식 전날이거나 한식과 같은 날(6년에 한번 꼴)로, 선조들은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라고 했으니, 청명과 한식을 거의 같은 걸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청명이라는 이름에서 풍기는 분위기와는 달리 흐린 날이 많고 비가 잦은 것이 이 무렵 우리 나라의 전형적인 기후이다. 그렇지만 한식에 비가 내리면 ‘물 한식’이라고 해서 그 해는 풍년이 드는 걸로 믿었다고 하니 이때 내리는 비는 분명 고마운 비이다.
6. 곡우(穀雨: 4월 20일경)
곡우는 곡식에 필요한 비가 내린다는 뜻이다. 곡우 무렵이면 대개 봄비가 내리고, 이 비가 오곡을 윤택하게 한다. 이 때가 되면 농가에서는 못자리를 마련하는 등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된다. 옛 말에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고 했다. 즉 그 해 농사를 망친다는 것이다. 또한 곡우 무렵은 나무에 물이 가장 많이 오르는 시기이다. 그래서인지 이 무렵이면 자작나무․박달나무 등이 수난을 당하기도 한다. 사람들이 수액을 채취해 가기 때문인데, 이때의 수액을 ‘곡우물’이라 한다. 곡우가 지나면 날씨가 따뜻할 때는 초여름이 무색할 정도로 햇볕이 두텁다.
비록 냉기가 스며들면 감기에 걸리기 쉬울 만큼 기온이 내려가기도 하지만, 산허리에까지 벚꽃의 개화선이 오르기 시작하는 이 무렵이면 차가운 공기가 한풀 물러갔다고 보아도 좋다. 날씨의 변동이 가장 심한 시기에 해당되나 평균 기온으로 볼 때는 일상 생활에 가장 적합한 시기이다. 그래서 피로가 자주 오고 몸이 나른해지면서도 마음은 풍선처럼 부풀어 누구라 할 것 없이 산과 들을 찾고 싶어진다. 하지만 날씨 변화가 심한 시기이므로 행락 계획을 세울 때는 늦은 오후 또는 다음날 날씨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7. 입하(立夏: 5월 6일경)
"봄은 오더니 가더이다."라고 노래한 시구도 있듯이「세시기」에서는 입하가 지나면 여름이라고 했다. 이 즈음은 신록이 우거지고 농촌에서는 못자리 가꾸기가 한창인 시기이고, 꽃달력으로는 붓꽃, 등꽃, 라일락, 카네이션 등이 피는 계절이다. 그리고 이때부터 잠자리가 눈에 띄기 시작하고, 산과 들에서는 뻐꾸기 소리가 들리며, 여름철의 귀찮은 존재인 파리, 모기도 발생하기 시작한다.
한편, 그 동안은 건조한 날이 많았지만 이제부터는 습한 날이 많아진다. 곰팡이가 생기기 쉬우니 방습과 방충에도 신경을 써야 할 때다. 또한 생활의 리듬이 깨지고 과로에서 오는 신체상의 부조화가 연말과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라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옛 중국에서는 입하 15일간을 3후로 구분하여 1후때는 청개구리가 울고, 2후때는 지렁이가 땅에서 나오며, 3후때는 왕과(王瓜)가 나온다고 하였다.
8. 소만(小滿: 5월 21일경)
땅은 양기로 가득하고 온갖 생물은 생명감으로 가득해진다는 절기이다. 남해안지방으로는 비가 잦고 때로는 봄 장마기로 접어든다. 바다에서는 안개가 자주 끼고, 육지에서는 대나무가 누렇게 물들며, 산에서는 본격적으로 뻐꾸기와 두견새 울음이 들리기 시작하는 것이 이 무렵의 그림이요, 시라고 하겠다. 그 가운데에서도 대나무의 잎이 가을을 만난 듯 누렇게 물들어 가는 것은 이 시기의 빼놓을 수 없는 정경이다. 모든 수목이 푸르름을 더해 가는 계절인데, 유독 대나무만이 누렇게 변색하는 것은 죽순을 키우기 위해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대밭에는 죽순이 여기저기 솟아나는데, 이것을 따다 만드는 죽순 요리가 또한 일미다. 대나무는 봄에 고엽이 되고 가을에 신록을 이루기때문에 이 계절의 대나무를 ‘죽추(竹秋)’라고 부른다. 이것은 여름에 보리밭이 황금빛으로 물드는 것을 ‘맥추(麥秋)’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우리 나라의 여수 앞바다에 있는 오동도에서는 해마다 이때쯤이면 죽추(竹秋)가 빼어난 경치를 자아낸다. 오동도의 해변가에는 동백꽃이 만발하고, 섬 가운데에는 대밭이 누렇게 물들어 있어 봄과 가을을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독특한 관광지로 꼽힌다.
9. 망종(芒種: 6월 5일경)
망종(芒種)은 본래 보리와 같이 까끄라기가 있는 작물의 열매를 뜻하는데,이러한 작물이 성숙하고 이를 수확하는 시기가 이 무렵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한편으로는 벼와 같이 논에서 자라는 작물의 모내기가 한창인 계절임을 가리키기도 한다. 농촌에서는 농사일을 멈추는 것을 잊는다고 해서 ‘망종(忘終)’이라고도 했다. 망종이라는 절기가 그만큼 농촌이 바쁜 시기임을 뜻한다.
망종 무렵의 기후는 장마의 전조로서 구름이 자주 끼고 남부 지방에서는 비가 자주 오나, 중부 지방은 후텁지근한 여름 날씨를 보이며 가뭄이 들 때도 있어 해에 따라서는 제철에 모를 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옛 중국에서는 망종 15일간을 3후로 구분하여 1후때는 사마귀가 생기고, 2후때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3후때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고 하였다.
10. 하지(夏至:6월 21일경)
하지는 일년 중 낮이 가장 긴 날이다. 태양이 바로 우리 머리 위에 위치하며 밤보다 낮이 3분의 1 가량이나 더 길어진다. 역서에는 하지 이후 26일경까지는 낮의 길이가 14시간 45분으로 거의 일정하다가, 27일경부터는 하루 평균 30초 가량씩 짧아진다고 되어 있다. 하지때는 일반적으로 태양의 고도가 높고, 또 낮의 길이가 길므로 북반구의 지구 표면이 받는 열량은 1년 중에서 가장 많다. 이 열량에서 방사열을 감한 나머지가 쌓여서 하지 이후에도 기온이 상승하고 삼복 때에 심히 더워진다.
햇빛이 머리 위를 비추고, 또 낮이 길기 때문에 하지 무렵이 일년 중 가장 더울 것 같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하루 최고 기온이 태양이 머리 위에 위치하는 12시가 아니라 대개 오후 2시 이후 무렵에 나타나는 것과 같이, 이 시기에는 땅이 덜 더워졌기 때문에 땅이 충분히 더워져서 태양에서 오는 열량과 지표면에서 나가는 열량이 같아지는 8월이 가장 더운 시기가 된다. 그러나 적도 부근의 열대 지방과 같이 언제나 땅이 더워져 있는 곳에서는 춘분 때 가장 덥다. 하지는 천문학적으로는 낮이 긴 태양의 계절이지만 기상학적으로는 구름이 많은 시기로 접어드는 때이다.
11. 소서(小暑: 7월 7일경)
우리 나라는 소서를 맞으면서 본격적으로 더운 계절로 접어든다. 소서, 대서라고 하는 말의 ‘서(暑)’자는 덥다는 뜻인데, 소서는 아직은 가장 더운 때가 아니기 때문에 작다는 뜻의 소를 붙이고, 대서는 일년 중에서도 가장 더운 때이기에 크다는 뜻의 대를 붙여 부른다. 그런데 대개 소서 무렵은 장마기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아서 큰 더위가 없는 게 보통이다. 하지만 해에 따라서는 장마가 늦어진다던가, 있는 둥 마는 둥 지나가 버릴 때는 소서 무렵부터 숨막히는 더위가 시작되기도 한다. 이 무렵은 장마전선이라는 불연속선이 한반도의 허리를 가로질러 좀체로 벗어나지 않아 습도가 높고 장마철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 1921년 이 시기에 이라크의 바스라에서는 섭씨 58.8도라는 상상할 수 없는 살인적인 더위가 관측된 일이 있다. 이 기온은 지금까지도 최고 기록으로 남아 있다. 원래 이 지방은 세계에서도 가장 더운 지역의 하나로 손꼽히는 곳으로 7월 평균 기온이 36도나 된다. 이 기온은 사람의 체온과 비슷한 상태인데,이쯤 되면 사람들은 거의가 지하실에서 생활하고 한낮에는 얼씬도 하지 않는다고 한다. 기록적인 더위가 나타나는 곳은 예외 없이 비가 적은 곳으로도 유명하다.
12. 대서(大暑: 7월 24일경)
대서는 대한으로부터 꼭 6개월이 되는 날이다.우리 나라에서 가장 더운 시기와 추운 시기가 약 반년을 주기로 바뀌는 셈이다. 그런데 대한이 지나면 추위가 누그러지는 것이 겨울철의 기후인 데 비해,여름철에는 이와 달리 대서를 넘기면서부터 더위가 본 궤도에 오르게 된다. 그래서 대서 이후 20여 일 동안이 일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가 되며 장마전선이 한반도에 동서로 걸쳐 큰 장마를 이루는 해가 자주 있다. 우리 나라 여름철의 무더위는 모두가 태평양의 오카사하라 섬 부근에 뿌리를 두고 있는 아열대 고기압의 영향 때문이다.
그래서 이 고기압을 ‘오카사하라 고기압’이라고 부른다. 여름철에 발달하는 같은 아열대 고기압으로 태평양에서는 ‘하와이 고기압’이 있고, 대서양에서는 ‘버뮤다 고기압’, ‘아조레스 고기압’등이 있다. 이 모두가 해상에 흩어져 있는 여러 섬들의 이름을 따 붙인 것이다. 이들 고기압권 내에서는 어느 곳이나 무더위와 한발이 심해지기 마련이고, 오로지 스퀄만이 유일한 수원이요, 청량제가 된다. 우리 나라의 기후도 이 무렵에는 태풍이 북상하는 경우가 아니면 한줄기 소나기만이 숨막히는 오카사하라 고기압을 눌러 주는 유일한 청량제가 된다.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