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광기맥의 요혈 -2
9. I20
I20번은 대장유로서 대장질환과 골반질환, 요통, 디스크에 특효하다. 이 자리는 지금까지 공부한 어떤 혈보다도 중요한 자리로서 허리요통에 기본적인 상응 반응점(치료점)으로 들어간다. I20번을 취혈하는 방법은 손등 제3지 제 1관절(주먹을 쥐면 툭 튀어 나오는 자리)옆으로 제 4지와의 사이에 긴 홈이 있는데 그 홈을 따라 손목 쪽으로 내려가다 보면 탁 걸리는 자리가 나온다. 흡사 우리의 허리에서 밑으로 가다 엉덩이가 툭 튀어 나와 있듯이 걸리는 자리가 있는데 손에서도 마찬가지로 탁 걸리는 자리가 있다.
바로 그 곳이 I20번의 상응반응점으 모든 허리요통에 특효혈로 쓰인다. 이 자리는 허리의 통증이 심하면 심할수록 아픈 통증 이 나타나고 허리 통증이 없으면 눌러도 아프지 않다.
10. I21
I21은 소장의 양기가 모이는 소장의 유혈로서 신실증 질병과 척추, 특히 엉덩이 통증, 변비, 설사 등에 쓰인다. 허리 요통의 상응반응점으로 I20번을 보좌한다. 눌러서 아프면 곧 치료점이 된다.
11. I22
I22번은 방광의 기유혈로서 방광의 양기가 모이는 자리이다. 모든 방광의 질병과 허리, 척추, 두통, 소변불리 등에 쓰인다. 방광의 기능 이상으로 오는 허리 통증을 치료한다.
12. I33
I33번은 제 5지, 새끼손가락 둘째 마디 주름 선상 중앙에서 취하는데 인체부위로는 발 오금 중앙에 있는 위중(委中)에 상응한다. 허리와 척추, 특히 무릅 관절통에 특효하다. 오행 혈로는 土혈에 속한다.(Fig. 8 참고)
Fig. 8 위중~비양 |
13. I34
I34는 인체부위에서 장딴지의 상응 반응점으로 두통이나 뒷머리가 아프고 뻣뻣할 때 좋은 혈이다. 이 자리는 장시간 운전 할 때 장딴지가 저리기 쉬운데 이 때 I34, 35, 36에 서암봉을 붙이면 저리는 증상을 예방 할 수 있다.
오행 혈로는 火의 성질을 갖는다. 경혈학에서는 승근(承筋)의 상응반응점이 된다. 승근은 장딴지의 중앙에 위치하며 위중 (委中)과 승산(承山)사이에 있다. 승근은 위중 에서 6촌 떨어져 있으며 승산은 승근에서 2.5 촌 떨어져 있다 한다
14. I35
I35는 I33과 I37번과의 중간점으로 수족 경련, 신경통 등에 특효하다. 요통과 방광염 일체에 응용할 수 있다. 오행혈로는 木의 특성을 갖고 있다. 경혈학에서는 비양(飛陽)의 상응점이다. 비양은 장딴지의 아래쪽에 있는데 발뒤꿈치에서 장단지까지 연결되어 있는 아킬레스건의 중심부로 밀어 올라가서 막히는 곳이 승산혈 (승산혈)이고 비양은 승산혈의 약간 외측 조 금 밑, 근육이 시작되는 곳이다.
15. I37
이 자리는 방광의 원기를 다스리는 명혈(命穴)이다. 모든 방광 질환에 응용하며 특히 신경통에 특효하다. 수지침 요법에서는 발목에 상응한다. 이곳은 발이 심하게 삐었을 때 반응점으로 나타나는 곳으로 반드시 이곳 I37번을 취혈해야 한다. 경혈학에서는 경골(京骨)에 상응한다. 경골은 발등의 바깥쪽을 더듬어 보면 새끼발가락과 복사뼈 사이에 가장 두드러져 나온 곳이 있다.
그 두드러진 뼈의 밑 부분이 경골 혈로서 뇌의 압력이 높아 발생하는 어지럼증이나 후정통(뒷머리 윗 부분이 아픈 것)에 주로 쓰였다.(Fig. 9 참고)
Fig. 9 경골~지음 |
16. I38
I38은 I39와 I37중간에 있는데 방광염증에 특효하며 특히 양실증(대장의 기능이상으로 나타나는 병증)의 모든 병에 1침 보사로 유명한 자리이다. 이 자리는 새끼발가락과 발목뼈(외과) 바로 밑에 있는 신맥혈의 상응 반응점으로 유명하다. 신맥(申脈)혈은 바깥쪽 복사뼈의 바로 밑을 손끝으로 더듬어 보면 뼈와 뼈 사이의 힘줄과 힘줄 사이에 약간 들어가는 함중이 있으니 관절을 굴신하면 혈이 잘 감지된다. 이 자리는 허리나 다리가 아프고 종아리가 아리고 저려, 힘이 없이 배를 타고 있는 것 같이 중심을 잡기 어려운 상태를 조절 한다.
또한 이 자리는 인체 의 균형을 잡아주는 자리로 유명한데 우리 수지침요법에서 I38번은 H2번과 함께 척추 교정혈로 유명하다. 즉 인체를 성냥갑으로 비 유하고 성냥갑이 비뚤어진 것을 손으로 바로 잡아 주듯이 인체의 균형이 비뚤어졌을 때 바 로 잡아주는 특효혈이다.
※ I38번을 쓸 때 H2번을 함께 사용한다.
17. I39
I39번은 방광기맥의 마지막 혈로서 인체에서의 상응반응부위는 새끼발가락 외측에 해당이 된다. 혈성은 金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경혈학에서는 지음에 해당이 된다. 지음은 새끼발가락 발톱 뿌리 부분 각진 곳에서 1分떨 어진 곳이 지음(至陰)혈이니, 지음(至陰)혈은 水經중의 金穴이기 때문에 방광을 보하는 혈이다.
이 자리는 눈병과 콧 병 등에 주로 쓰여졌 는데, 우리 수지침 혈 에서의 I39는 응급혈 로서 반신 불수의 통 기혈로 이용한다. 오줌이 너무 자주 나오거나 잘 안 나올 때 특히 야뇨, 유뇨증에 특효하다.
※ 어린아이가 소변 이상이 있을 경우에는 I38, I39에 서암봉을 붙이고 A3번에 6호 서암봉을 붙이면 좋은 효과가 나타난다.
0 댓글